1. 임종기 암환자의 연명치료 결정에 내재된 복합적 판단 요소와 사회복지의 역할 의학기술의 발달과 인구 고령화의 가속화에 따라 말기 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생애 말기에서 겪는 의료적 처치의 양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암은 우리나라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많은 환자들이 진단 시점부터 생애 마지막 순간까지 장기간의 치료와 돌봄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환자와 가족은 치료의 방향성, 특히 연명치료(Life-Sustaining Treatment)의 시행 여부에 대한 중대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2018년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이하 연명치료결정법)의 시행 이후, 임종기 환자에 대한 연명치료 중단 혹은..